*HEADING

*NODE

101, 0., 0., 0.

102, 1., 0., 0.

103, 2., 0., 0.

104, 0.5, 0.866, 0.

105, 1.5, 0.866, 0.

*ELEMENT, TYPE=T2D2, ELSET=FRAME

11, 101,102

12, 102,103

13, 101,104

14, 102,104

15, 102,105

16, 103,105

17, 104,105

*SOLID SECTION, ELSET=FRAME, MATERIAL=STEEL

1.963E-5

*MATERIAL, NAME=STEEL

*ELASTIC

200.E9, 0.3

**

** History data

*STEP, PERTURBATION

10kN central load

*STATIC

*BOUNDARY

101, ENCASTRE

103, 2

*CLOAD

102, 2, -10.E3

*NODE PRINT

U,

RF,

*EL PRINT

S,

*END STEP

상기 예제는 Abaqus Documentation에서 제공하는 예제 파일입니다.  첫줄인 *HEADING부터 마지막줄인 *END STEP까지 내용이 있는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OverHeadHoist 폴더를 바탕화면에 만들고 OverHeadHoist.inp를 복사하여 붙여넣기합니다. OverHeadHoist 폴더에 마우스를 올려놓고 "Shift Key + 마우스 우클릭"합니다.  팝업 매뉴의 "여기에 PowerShell열기"를 선택합니다. Window의 PowerShell이 나타납니다.

OverHeadHoist.inp
0.00MB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abaqus job=OverHeadHoist cpus=2 int

해석이 실행되고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면 맨 마지막에 "Abaqus JOB OverHeadHoist COMPLETED" 나타납니다. 이것이 abaqus 솔버를 실행하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생성되는 파일에 대해서는 이후에 조금씩 배워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이 Abaqus Template의 기본 문법에 대해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Abaqus의 Keyword들은 항상 star or asterisk(*) 함께 시작합니다. 예를들어, *NODE는 특정 절점의 좌표를 지시하는 keyword입니다. 그리고 *ELEMENT는 요소간의 연결을 정의하는 Keyword입니다. Keyword 뒤에는 종종 변수가 따라오고, 그 중 일부는 반드시 포함시켜야 합니다. TYPE이라고하는 변수는 *ELEMENT 옵션과 함께 사용됩니다. 왜냐하면 요소를 정의할 때 요소 타입이 항상 제공되어야하기 때문입니다.

'Abaqus > Beginn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Abaqus Command Line의 개념  (0) 2020.11.14

+ Recent posts